void-not-void
[finger village in finger village]
[프롤로그]
“주거는 공동체적 삶을 추구하는 사회분위기의 동력이 되어야 될 것이다.”
단지계획은 그 범위가 개개인의 영역이 아니라 전체가 모여 하나의 집합체를 이루는 것으로 그 개념이 도시와 같다고 할 수 있겠다.
단지는 그 규모나 구성원들이 미치는 영향으로 봐도 도시와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도심에 단지가 어떻게 있느냐에 따라 그 지역의 교통의 흐름이나 상권, 인구가 이동한다. 그만큼 상화관계에 미치는 도심의 흐름들은 다양하지만 기존 단지의 도시에 대한 대응은 자기 영역에 대한 확실한 경계구획으로 되 프라이빗 공간을 점점 강화시키고 개개인의 일상공간을 단지 내, 그리고 자신들의unit안으로 한정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도심의 80%, 국민의 대다수가 ‘아파트’라는 주거공간에서 살고 있는 지금 개인 중심적 일상생활의 마인드는 개인주의 배타주의적인 사회문제의 근원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미래주거는 인간적 관계를 그 중심에 두고 이웃과의 문화적 교류를 활성 시켜 낳아가야겠다.
[CONCEPT]
structure의 다양함만으로, 곧 삶의 확장을 기대할 수는 없다. 그 곳이 내 삶의 영역이라는 강한 ‘장소성’이 구성원들의 기억에 베어 나올 때 우리 내 삶은 기대 이상의 확장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시간의 layer와 함께 쌓여진 장소성은 개인의 영역으로 그치지 않고 다양한 구성원들과 교집합을 이루며 임의로 규정지을 수 없는 파생적 관계를 형성하게 되어 우리에게 공동체적 삶의 모티브를 부여한다.
이것이 우리가 말하는 ‘일상 공간의 확장’이다.
void-not-void
도시는 한 번의 구획으로 문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많은 정책들이 반영되고 잘못된 면을 수정해가면서 시대와 싸워가며 시간의 layer가 층층히 쌓여 그 장소에 문화가 만들어진다. 우리는 그 곳에 최소한의 장치만 둘뿐이다. 구성원들의 다양한 life style이 void를 채워 도시를 다채로운 삶의 공간으로 만들 것으로 기대한다.
Zoning
'finger village in finger village'
도시-단지 의 관계 형성에 있어서 택지의 finger village 개념을 재해석함으로써 밖의 보이드 공간에 주거 공간이 사이사이 관입된 형태로 계획하였다. 이는 단지내 흐름을 개방적으로 열어주고 다양한 보이드를 만들어 내어 도시의 유동적 흐름과 각각의 접하는 필지와 그 관계를 같이 하게 된다.
[P-room] 사적 외부 공간
‘P-room'이라고 붙여진 새로운 주거공간은 단독주거의 마당의 개념으로 시작되어 아파트의 철문과 현관으로 이루어진 폐쇄적 영역성에서 탈피하고 외부공간으로의 주거 진입이 가능케 되어 이웃세대와 개방적 공간을 가질 수 있게 된다.
P-room은 새로운 마당의 개념으로 내부 L.D.K [ living. dining. kichen ]와 바로 면하여 생활동선이 자연스레 이동, 순환되어 공간을 활성화 시킨다. 이는 시간의 층이 쌓이면서 구성원들은 P-room란 공간에 짙은 장소성을 갖게 되고 세대별 일상의 life style이 자연스레 묻어나와 주거공간의 다양성을 가져온다.
개개의 구성원들이 사적 외부공간을 가지고 일상의 공간으로서 인식하는 동안 구성원들의 생활패턴 범위는 p-room의 공간에만 한정 되지 않고 제각기 다른 구성원들과 관계하게 된다. 이웃집이라는 공동체가 생겨나고 그것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그들의 일상적 동선은 예측하기 어려운 패턴으로 발전하게 된다.
이렇게 밖의 공간이나 이웃과 관계를 맺으면서 우리 집이 아닌 밖의 영역에서도 자신의 장소성을 구축하게 되어 일상공간은 점점 확장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과정이 일상공간이 단지전체 더 나아가 도시까지 확장되어질 수 있는 힘이 된다.
일상 공간의 확장에 따른 ’필요충분 조건‘
[deck bridge의 주민 공동 시설]
deck bridge는 단지 전체를 감싸 안으며 주거공간을 안정감 있게 담아주며 여러 program infra를 구축시켜놓아 단지전체를 통합 시키는 역할을 한다.
space program
washing room - 5% (158㎡)
playing zone - 3% (92㎡)
노인 복지 시설 - 10%(310㎡)
유아 보육 시설 - 10%(310㎡)
놀이방 2 - 4%(138㎡)
hobby 4 - 8%(289㎡)
work 3 - 8%(289㎡)
rest room 2 - 6%(230㎡)
회의. 세미나 2 - 14%(502㎡)
DVD. 시청각실 2 - 4%(140㎡)
도서관. 열람실. study room 3 - 16%(574㎡)
주민 공동시설은 구성원들의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을 뒷받침 해주는 서비스 프로그램으로서 개개인이 혼자서 할 수 있는 성격보다는 소모임 단위의 일정 규모의 그룹을 형성하여 이루어져 간다.
바쁘고 개인적 여유가 부족한 현대인들에게 주거가 그들에게 휴식과 취미를 찾을 수 있게 도와주고 구성원들은 적극적인 동참으로 이웃과 단지의 공동체적 문화를 일구어 나간다. 이러한 공동체적 문화는 단지 전체에 투영되어 도시와 교류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우리는 그 곳에서 주거가 만든 도시 문화를 맛볼 수 있을 것이다!